728x90
반응형

gRPC란 무엇일까? 이를 알기 위해선 RPC를 먼저 알아봐야 한다.

 

RPC (Remote Procedure Call)

 

_RPC 메커니즘_

RPC는 API를 구축하는 접근 방식이다.

클라이언트 - 서버 간 상호 작용 방식으로, 원격 제어를 위한 코딩 없이 다른 주소 공간에서 함수나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프로세스간 통신 기술이다. 즉, 로컬 위치 혹은 원격 위치에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원격으로 특정 함수나 프로시져를 호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교환이 간단하다.
  • 내용이 가볍다.
  • 따라서 프로그래밍 부담이 적고 속도가 빠르다.

 

방법

  • 양쪽의 인터페이스 규약을 IDL등의 언어로 정의
  • 해당 프로그래밍 언어가 부를 수 있는 형태의 코드로 생성

 

함수 - 프로시져

  • 함수: 입력값(input)에 따른 출력값(output)을 내보내는 것.
  • 프로시져: __명령 단위가 수행하는 절차__에 집중한 개념. 따라서 출력값은 없을 수도 있으며, 함수보다 큰 단위의 실행에 사용된다.

 

IDL (Interface Definition Language)

RPC는 IDL을 이용한다. IDL이란 인터페이스 정의 언어로, 어느 한 언어게 국한되지 않게 인터페이스를 표현하는 방법

  • 서버 호출 규약 정의
  • 함수명, 인자, 반환값에 대한 데이터 타입 지정

 

gRPC (Google Remote Procedure Call)

 

gRPC는 구글에서 개발한 RPC 기반의 통신 방식이다.

 

_gRPC 메커니즘_

왼쪽 service가 서버, 오른쪽 client가 클라이언트이다.

그리고 각각 프로그래밍 언어가 적혀있는 것은 서로 다른 언어들끼리도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예시로 든 것이다.

 

특징

  • JSON 혹은 XML이 아닌 프로토콜 버퍼 기반의 메시지를 바이너리 형식으로 직렬화 통신
  • 프로토콜 버퍼로 원하는 메시지 타입을 미리 정의
  • HTTP/2를 사용하기 때문에, 요청-응답을 넘어 스트리밍도 지원

 

프로토버퍼 (Proto Buffer)

gRPC에서 통신하기 위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방법.

  • 프로토 파일로 정의된 메세지 포맷들을 이용하여 직렬화(Serialize)
  • 프로토 파일을 토대로 받은 메세지를 역직렬화

 

RPC vs REST API

  • REST API는 JSON 혹은 XML 형식을 사용하여 통신하기에 크기가 크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느리다.
  • REST API 서버는 클라이언트와 **엔드포인트(End Point)**를 공유한다. 반면 gRPC는 클라이언트와 __함수__를 공유한다.
  • REST API는 HTTP 상태 코드로 표시하는 반면, gRPC는 에러 코드를 사용한다.

 

장점

  • 속도가 빠름
  • 엄격한 타입 검사
  • 이중 스트리밍

 

단점

  • 엄격한 타입 검사 때문에 주기적으로 변경하고 업데이트하는 것이 부담이 될 수도 있다.
  • 부족한 생태계: 비교적 최근 기술이기 때문에 환경이 국한되어 있고 자료가 부족하다.
728x90
반응형

'백엔드 Back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합도/응집도] 결합도와 응집도란  (0) 2024.10.24
악성코드 종류  (0) 2024.10.16
SOLID 원칙  (0) 2024.10.08
비동기 Asynchronous 란?  (0) 2024.10.04
[백엔드] REST API 란?  (0) 2024.09.27
728x90
반응형

 

본 과정은 Ubuntu 20.04 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도커 설치

 

운영체제 패키지 업데이트

 

sudo apt-get update

 

 

필수 요소 설치

 

sudo apt-get install \
  apt-transport-https \
  ca-certificates \
  curl \
  gnupg \
  lsb-release -y

 

 

도커 GPG 키 설치

 

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gpg | sudo gpg --dearmor -o /usr/share/keyrings/docker-archive-keyring.gpg

 

 

Stable 버전 도커 설치

 

echo \
  "deb [arch=$(dpkg --print-architecture) signed-by=/usr/share/keyrings/docker-archive-keyring.gpg]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 \
  $(lsb_release -cs) stable" | sudo tee /etc/apt/sources.list.d/docker.list > /dev/null

 

 

도커 엔진 설치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 -y

 

 

버전 확인

 

docker version

 

 

도커 컴포즈는 뭔데?

 

도커 컴포즈는 컨테이너 이미지를 빌드하고, 컨테이너 설정을 미리 할 수 있는 설계도이다.

빌드할 도커 파일을 설정하고, 컨테이너 이름 및 공개할 포트 번호, 네트워크 등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커 컴포즈 설치

 

sudo curl -L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download/v2.9.0/docker-compose-$(uname -s)-$(uname -m)" -o /usr/local/bin/docker-compose

 

 

실행 권한 부여

 

sudo chmod +x /usr/local/bin/docker-compose

 

 

버전 확인

 

docker-compose --version

 

728x90
반응형

'데브옵스 devOps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도커 port / expose 에 대해  (1) 2024.10.21
[DOCKER] 도커 네트워크에 관하여  (0) 2024.10.18
[DOCKER] 헬스체크  (2) 2024.10.03
[Docker] 도커란?  (1) 2024.09.25
[Docker] Private 도커 허브와 크레덴셜  (7) 2024.09.24
728x90
반응형

 

도커는 리눅스의 격리 기술을 활용한 기술이다.

 

프로세스란?

프로세스? 프로세스가 무엇인가. 여기서 시작해야 도커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겠다. 우리가 주로 컴퓨터에 설치하는 것들을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카카오톡, 알약, 팟플레이어 등… 모든것이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프로그램은 설치되었다고 해서 실행되는 것이 아니다. 실행을 시켜야 그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정말 러프하게 설명하자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한다. 조금 전문적으로 설명하자면 CPU가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메모리에 올라가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그래서 프로세스가 도커랑 뭐?

자 이제 프로세스가 도커와 무슨 상관일까? 도커를 러프하게 설명하자면, 프로세스를 구동하고 있는 가상 머신이다. 오.. 그렇구나. 그런데 가상머신 VM과 도커랑 무슨 차이가 있길래 구별을 하는거냐? 이것 역시 러프하게 얘기하자면, VM은 모든 가상 머신에 각각 OS가 설치되어있다. 내 컴퓨터에 가상 머신이 4개가 돌아가고 있다 가정한다면, 4개의 컴퓨터가 하나의 컴퓨터 안에서 돌아가고 있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때문에 무겁다. 하지만 도커는 호스트의 OS를 공유하기 때문에 가상머신에 비해 비교적 빠르고 가볍다.

 

도커의 구성 요소?

자 이제 그러면 도커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커는 크게 호스트, 컨테이너로 구성된다. 호스트란 가상 머신을 지칭하는 거로, OS가 구동된다. 컨테이너는 이 호스트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구동하고 있는 단위이다. 우리의 컴퓨터랑 똑같이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컴퓨터를 켜서 배경화면에 와서(호스트 접속)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컨테이너 구동)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 예시에서 클라이언트는 빠졌지만.

 

도커를 이용하는 방법

그렇다면 도커 컨테이너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우선 도커 컨테이너는 이미지라는 것을 가져와 프로세스를 구동시킨다.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Dockerfile을 통해 현재 로컬 호스트의 소스코드와 구동 환경들을 정적으로 이미지 빌드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커스텀한 이미지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두번째는 레지스트리에서 가져오는 것이다. 레지스트리가 무엇인가? 쉽게 말하자면 이미지를 온라인상에 업로드 한 저장창고 라고 생각하면 쉽다. 가장 대표적으로 도커 공식 레지스트리 docker hub가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