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빌드 시 디렉토리 지정

  • script 안에 dir 을 선언해서 빌드 할 소스 상에서의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stage('도커 이미지 빌드') {
    steps {
        script {
            dir("api") {
                    // 브랜치에 따라 이미지 이름 변경
                    DOCKER_IMAGE = docker.build(DOCKER_IMAGE_NAME)
                }
            }
        echo "Built: ${DOCKER_IMAGE_NAME}"
    }
}

Golang 빌드

  • Go를 빌드하여 컴파일 된 바이너리 파일을 배포하고자 한다.
    • 때문에 빌드 시에 go 언어 컴파일이 가능하게끔 시도하였다.
      • 때문에 go 언어 도커 이미지를 받아와 빌드하려고 한다.
      • 이 때 golang 이미지는 go.mod 에 명시된 go 버전을 사용해야만 한다.

stage('도커 이미지 빌드') {
    agent {
        docker {
            image 'golang:1.23.4' // go.mod 의 버전과 동일하게
            args '-v /tmp:/tmp' // 권한 문제로 인해, 쓰기 권한이 있는 디렉토리 설정
        }
    }
    steps {
        script {
            dir("backup") {
                sh '''
                    export GOCACHE=/tmp/go-build-cache
                    mkdir -p $GOCACHE
                    GO111MODULE=on CGO_ENABLED=1 GOOS=linux GOARCH=amd64 go build -o backup .
                '''
            }
            echo "Built Backup Binary"
        }
    }
}
728x90
반응형

'데브옵스 devOps > Jenk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실제 CI/CD 배포 세팅  (2) 2024.10.29
[Jenkins] 젠킨스란?  (2) 2024.10.07
728x90
반응형

Jmeter란?

  • Apache에서 자바로 만든 웹 애플리케이션 성능 테스트 오픈 소스입니다.
  • 위의 그림과 같은 GUI를 지원합니다.

테스트 용어

  • Thread Group : 테스트에 사용될 스레드 개수, 스레드 1개당 사용자 1명
  • Sampler : 사용자의 액션 (예: 로그인, 게시물 작성, 게시물 조회 등)
  • Listener : 응답을 받아 리포팅, 검증, 그래프 등 다양한 처리
  • Configuration : Sampler 또는 Listener가 사용할 설정 값 (쿠키, JDBC 커넥션 등)
  • Assertion : 응답 확인 방법 (응답 코드, 본문 내용 비교 등)

예시

  • Thread 개수가 1000 개이고, Ramp-up Period가 60, Loop Count가 10이면
    • 1000명의 유저가 60초 동안 10번 반복해서 요청 보낸다는 의미
  • Sampler - 사용자의 액션
    • 프로토콜, IP, 포트, HTTP, PATH 등을 지정 가능
    • Parameter와 Body 도 넘길 수 있음

설치 (MAC)

Homebrew 로 설치

  • MAC 기준 설치 및 실행
brew install jmeter
  • 실행
    open /opt/homebrew/bin/jmeter

소스 다운로드로 설치

cd apache-jmeter-5.6.2 

./bin/jmeter.sh
728x90
반응형

'데브옵스 devOps > T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Meter] HTML 보고서 생성  (0) 2024.12.13
[JMeter] JMeter 란?  (0) 2024.12.12
728x90
반응형

HTML 보고서 만들기 (Mac - Homebrew)

  • Graph 차트로 만든 보고서를 csv로 저장한 후에 HTML로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래프 보고서 생성

  • 결과 파일 csv 저장하기 위해 경로 설정
    • Wirte result to file/Read from file
  • 설정 시 뜨는 오류는 무시해도 됨

HTML 보고서 생성

  • 보고서 설정
    • 상단의 Tool - Generate HTML 선택
      • csv: 그래프 차트 저장으로 생성된 CSV
      • properties: /bin/jmeter/jmeter.properties 선택
    • homebrew
      • properties: /opt/homebrew/Cellar/jmeter/버전/libexec/bin/jmeter.properties 선택
    • 결과 html 저장 경로
      • 빈 디렉토리어야 함. 따라서 새로운 폴더 생성

728x90
반응형

'데브옵스 devOps > T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Meter] JMeter 설치  (0) 2024.12.16
[JMeter] JMeter 란?  (0) 2024.12.12

+ Recent posts